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ervicename
- API
- service name
- 영상편집
- MariaDB
- 키보드
- HTML
- MySQL
- http
- Database
- 티스토리챌린지
- Docker
- wsdl
- Tomcat
- 스레드
- oracle
- 오블완
- cmd
- ibatis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스레드 덤프
- q87
- 프로세스
- 톰캣
- httpservletreqeust
- java
- SID
- JDBC
- 컨트롤러
- letterspacing
- Today
- Total
목록안드로이드 스튜디오 (8)
블로그 이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디바이스 크기를 태블릿 크기로 설정하려고 한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오른쪽 상단의 Device Manager 클릭하여Device Manager 상단의 Create device 를 클릭한다. 이후, 하단의 New Hardware Profile 을 클릭하여Device N ame을 입력하고, Screen 에서 원하는 인치와 가로, 세로 길이를 지정할 수 있다.10인치로 지정하였다. 이후 next 눌러서 시스템 이미지를 선택하고, AVD 이름을 정해준 뒤 Finish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이후 생성된 에뮬레이터를 실행하면 된다. 화면 크기가 변경되어 앱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가로가 길게 하면 가로 세로가 뒤바뀌기에 가로 설정 추가로 해줬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버튼을 눌렀을 때,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지 보는 방법들을 적어보고자 한다. 버튼의 클릭 이벤트가 어디에서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를 추적하고자 한다.일반적으로 버튼 클릭 이벤트는 OnClickListener를 통해 처리되긴 한다.1. XML 파일 확인버튼이 정의된 XML 파일에서 버튼의 속성을 확인한다. android:id="@+id/ buttonclickevent " android:layout_width="wrap_content"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text="Submit" android:onClick="onSubmitClick" />위와 같은 XML에서 중요한 속성은 android:onClic..
에뮬레이터를 신규 생성하면 자동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긴 하지만브리지를 연결하여 접근해야 하는 서버가 있었다. 에뮬레이터의 설정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설정파일의 위치는C:\Users\사용자이름\.android\avd\에뮬레이터 이름\.adv\config.ini 해당 파일을 연 뒤,hw.gpu.enabled=yeshw.gpu.mode=hosthw.network.bridge=yes 위 내용을 적어준 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재시작하면 브리지 연결이 완료되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에뮬레이터를 생성하고, 실행하였지만 켜지지 않는 현상이 있었다.원인은 에뮬레이터 파일을 저장하는 C드라이브 여유공간이 2GB 남아있어서 인 듯 하고,여유공간 부족 문제인 듯 하다. C드라이브가 꽉차면 컴퓨터가 아예 켜지지도 않아서 싹 포맷 해버려야 한다고 한다. 빨리 조치를 취해야 겟다. 아무튼에뮬레이터 파일 저장 경로를 여유공간이 2GB뿐인 C드라이브에서 D드라이브로 변경하려고 한다. Android Emulator 의 AVD (Android Virtual Device) 파일이 생성되는 기본 경로를 다른 드라이브로 변경하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AVD는 기본적으로 C:\Users\사용자명\.android\avd 에 저장되지만, 환경변수를 사용하여 다른 경로로 변경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