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oracle
- 영상편집
- java
- wsdl
- HTML
- MariaDB
- service name
- 스레드
- 스레드 덤프
- Docker
- httpservletreqeust
- 키보드
- 프로세스
- API
- ibatis
- Tomcat
- 티스토리챌린지
- 컨트롤러
- cmd
- letterspacing
- 톰캣
- MySQL
- q87
- http
- servicename
- Database
- 오블완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JDBC
- SID
Archives
- Today
- Total
블로그 이름
[JAVA] 제네릭 (Generics) 이란 본문
자바에서 제네릭이란 클래스 내부에서 사용할 데이터 타입을 외부에서 지정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객체별로 다른 타입의 자료가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ArrayList<String > list = new ArrayList<>();
해당 <> 괄호가 제네릭이다. 꺾쇠 괄호 안에 타입명을 기재하면 리스트 클래스 자료형이 String 타입으로 지정되어 문자열 데이터만 리스트에 넣을 수 있다.
제네릭은 객체에 타입을 지정 해 주는 것이다.
class test<T> {
List<T> testList = new ArrayList<>();
}
해당 클래스의 경우에, T 안에 Reference 타입을 할당 받을 수 있다.
int나 double같은 자바 원시 타입은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로 넘길 수 없다.
제네릭 타입 파라미터에 클래스가 타입으로 와,
다형성 원리를 그대로 적용 할 수 있다.
타입은 아무렇게나 넣어도 문제 없지만 대중적으로 보통 아래와 같이 사용한다.
타입 | 설명 |
<T> | 타입(Type) |
<E> | 요소(Element), 예를 들어 List |
<K> | 키(Key), 예를 들어 Map<k, v> |
<V> | 리턴 값 또는 매핑된 값(Variable) |
<N> | 숫자(Number) |
<S, U, V> | 2번째, 3번째, 4번째에 선언된 타입 |
제네릭을 사용하여 컴파일 타임에 오류를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List를 지정 크기로 분할하기 (0) | 2024.12.30 |
---|---|
[Java] Type safety: Unchecked cast from Object to List<AAA> (0) | 2024.12.13 |
[JAVA] 'A.B.C' 형태 버전 비교하는법 (0) | 2024.11.05 |
[HTTP] @RequestParam으로 Date 타입 받는 방법 (1) | 2024.10.23 |
[ERROR] Context initialization failed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0)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