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레드
- service name
- MariaDB
- MySQL
- Docker
- 키보드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 cmd
- wsdl
- HTML
- Linux
- java
- 스레드 덤프
- 톰캣
- Tomcat
- 오블완
- 프로세스
- httpservletreqeust
- 티스토리챌린지
- SID
- http
- 컨트롤러
- API
- oracle
- Database
- JDBC
- ibatis
- 영상편집
- servicename
- letterspacing
- Today
- Total
블로그 이름
JSON과 XML의 차이 본문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데이터를 보낼때 사용되는 파일 언어 중 대표되는 두가지 JSON, XML 에 관해 알아보려고 한다. 과거의 XML은 헤더와 태그 등 여러 요소들의 가독성이 떨어지고,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를 보완하고 문제를 해결해줄 수 있는것이 JSON이다. W3C 표준이 XML이라 XML이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ECMAScript5에서 기본으로 JSON이 내장되게 되며 JSON을 사용하는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
JSON이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약자로, 브라우저 통신을 위한 속성-값 또는 키-값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포맷이다.
[
{
"name" : "pencel",
"count" : 5
}
]
XML이란?
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HTML과 비슷한 문자 기반 마크업 언어이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며 XML 태그는 HTML 태그처럼 미리 정의되어 있지 않고, 사용자가 직접 정의할 수 있다.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로 이루어져 용량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chool>
<pencel>3</pencel>
<school>
JSON과 XML의 공통점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해 고안되었고, 기계뿐 아니라 사람도 쉽게 읽을 수 있다. 계층적 데이터 구조이며 프로그래밍 언어로 파싱이 가능하다. XMLHttpRequest 객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JSON과 XML의 차이점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며, JSON은 타입을 가지고 있지만 XML은 아니다. JSON은 네임스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지만 XML은 네임스페이스를 지원한다. XML에 비해 JSON은 보안에 취약한 편이며, JSON은 UTF-8 인코딩만 지원하고, XML은 여러 인코딩을 지원한다.
'개발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에러 코드 별 사용자 지정 페이지 표시하는 방법 (0) | 2024.10.19 |
---|---|
[Gradle] Windows에 Gradle 설치하기 (0) | 2024.10.11 |
[HTML] input type='file'에서 change 이벤트가 안터지는 현상 (0) | 2024.10.07 |
[HTTP] 서버로부터 응답이 오지 않을 때, 체크 리스트 (4) | 2024.10.06 |
[VPN] 네트워크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VPN 설정하는 방법 (0) | 2024.10.01 |